탄약 찾는 러…국방부 "北컨테이너 적재량, 포탄 수십만발 분량"

차준홍 기자
최근 북한이 러시아에 보낸 1000개 이상의 컨테이너에 실린 무기가 포탄으로 가정할 경우 수십만 발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16일 국방부가 밝혔다. 장기간 전쟁을 수행 중인 러시아는 현재 포탄 확보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이날 국방부 당국자는 앞서 미국 정부가 공개한 북한과 러시아 사이 무기거래 정황과 관련해 “북한이 러시아에 해상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한 정황은 사실”이라며 “컨테이너 적재량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가장 필요로 하는 포탄으론 수십만 발에 해당하는 막대한 분량”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러시아는 152mm,탄약찾는러국방부quot테이너적재량포탄수십만발분량 122mm 포탄과 RPG-7 대전차 로켓포 등을 대량 소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 관계자는 이번 거래가 수십만 발의 포탄이 소진된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러시아가 추가 탄약을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 무법 국가들을 샅샅이 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 로이터=연합뉴스
존 커비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CS) 전략소통조정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북한이 비밀리에 러시아에 군수 지원을 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 세계가 알아야 한다”며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할 무기를 인도했다는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위성 사진과 이동 경로를 담은 지도까지 제작해 북한의 무기가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290㎞ 떨어진 지점까지 이동했다고 전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물에 대해선 ‘탄약과 군사 장비’라고만 언급했다.
커비 조정관은 “우리는 우크라이나 도시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민간인을 살해하는 데 사용할 무기를 러시아에 제공한 북한을 규탄한다”며 앞으로 북러 무기 거래를 돕는 이들을 추가로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14일 “북러 간 무기류 거래와 관련 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며 한반도 평화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며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들과의 긴밀한 공조 하에 북러 간 무기거래를 비롯한 군사협력 동향을 지속 주시하면서 추가 대응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러, 북한 군사 지원 땐 우리도 결단 불가피”
미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대러 무기 제공을 계속되면서 정부의 대외 살상무기 제공 금지 방침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그간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와 관련 조현동 주한미국대사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을 경우 대응 방안에 대해 “러시아가 나름대로 강대국으로서 신중히 대응할 것을 기대한다”며 “만약 그런 상황이 생긴다면 우리도 진지하고 결단력 있는 결정을 할 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
Seoul subway workers vote for strike planInflation driving up costs to eat outJungkook of BTS sweeps iTunes’ Top Songs charts in 100 different regionsYoon hosts luncheon meeting with Korean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on ChuseokUSS Carl Vinson deploys for Indo2023 LoL World Championship to entertain esports fansMaestro Bychkov to debut in Korea with allS. Korea picks up 1st gold in roller skating[Today’s KLotte increases efforts to give back to society
下一篇:Yoon, doctors set to clash over medical school quota
- ·[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 ·Explore the culture of Joseon during Chuseok
- ·Civic group to celebrate 70th anniversary of S. Korea
- ·Lotte names ex
- ·이준석, 눈물의 회견…尹대통령 향해 "與 묵언 수행 저주 풀라"
- ·S. Korean industry minister visits Africa for World Expo bid, economic ties
- ·JTBC drama ‘Reborn Rich’ goes to Emmys
- ·The many regional flavors of songpyeon, a Korean holiday dessert
- ·Another suspect of Tajik duo behind S. Korean money exchange robbery nabbed
- ·S. Korean industry minister visits Africa for World Expo bid, economic ties
-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20만장 살포…"더 많은 정보, 계속 보낼 것"
- ·Lotte names ex
- ·Supporters of Israel hold rally in Seoul, urge Hamas to stop atrocities
- ·S. Korean industry minister visits Africa for World Expo bid, economic ties
- ·[Today’s K
- ·Tving streams 2023 MTV VMAs
- ·北, 日의 장거리미사일 조기 배치 추진에 “전쟁국가 일본 실체”
- ·Yoon hosts luncheon meeting with Korean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on Chuseok
- ·Whisky imports surge 40% through August, suggesting record
- ·Traffic heavy on expressways following Chuseok
- ·北, 러시아 외무장관 방북 발표…내달 18~19일 방문
- ·S. Korea to extend $5 mil worth of fertilizer aid to Ukraine via U.S. agency
- ·Music festivals and concerts for the fall season
- ·NCT Dream to perform on 2023 iHeartRadio Jingle Ball Tour
- ·'Apgujeong Box Girl' sparks online debate
- ·Yoon hosts luncheon meeting with Korean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on Chuseok
- ·One Store attracts W20b from Krafton
- ·Traffic heavy on expressways following Chuseok
- ·S. Korea in contention for team medal in women's golf
- ·N. Korea stipulates nuclear force
- ·Enjoying Halloween in Itaewon sparks debate online
- ·S. Korea's drop in exports eases in Sept. on chip sales recovery
- ·Memorials commemorating Itaewon crowd crush to be erected at accident site
- ·Same day, different holiday: Mid
- ·Hyundai Rotem to showcase new ground weapons systems at Seoul expo
- ·Whisky imports surge 40% through August, suggesting record